혀니에 대하여

혀니에 대하여

  • 분류 전체보기 (137)
    • 나에 대해 (1)
    • Enjoy (0)
      • 일상 (0)
      • 여행 (0)
      • 책리뷰 (0)
    • Challenge (1)
      • 영어공부 (0)
      • 스마트스토어 (1)
    • 코딩공부 (129)
      • 개발관련정보 (3)
      • ComputerScience (7)
      • html (11)
      • JavaScript (11)
      • JavaScript 알고리즘 (26)
      • React (29)
      • Vue.js (0)
      • GITHUB (1)
      • Node.js (1)
      • 스파르타코딩클럽 - 웹개발종합반 (25)
      • 항해99 (10)
      • 프로젝트 완성본 (5)
    • Data Science (6)
      • 기초 이론 (6)
  • 홈
  • 태그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혀니에 대하여

컨텐츠 검색

태그

범주형 데이터 이산형 데이터 카이제곱 검정 피어슨 상관 계수 연속형 데이터 순위형 데이터 단조 관계 수치형 데이터 유학썰 유클리디안 거리 명목형 데이터 기초 통계 이론 선형 상관 관계 자바스크립트 상관 관계 비선형 관계 항해99 선형 관계 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 정수 제곱근 판별 자바스크립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공분산

공분산이란? 변수 두개로 구한 분산 상관계수를 정의할 때 선형 관계의 강도를 수치화 하기 위해 쓰임 공분산의 값이 양수라면 x가 평균보다 클 때 y가 평균보다 크거나, x가 평균보다 작을 때 y가 평균보다 작은 경우가 많다. 산점도 그래프로 그려보면 우상향 그래프가 된다. 공분산의 값이 음수라면 x가 평균보다 클 때 y가 평균보다 작거나, x가 평균보다 작을 때 y가 평균보다 큰 경우가 많다. 산점도 그래프로 그려보면 우하양 그래프가 된다. 단위가 다른 데이터들 사이의 비교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공분산의 표준화가 필요하고, 공분산을 표준화한 값이 피어슨 상관계수이다.

자세히보기
유클리드 거리

유클리디안 거리 혹은 유클리드 거리 : 값들 간의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비슷하나 추가적으로 여러 차원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자세히보기
카이제곱 검정

카이제곱 검정이란? 두 변수가 관련될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기본 전제는 변수들이 서로 관련이 없다는 것 데이터에 있는 행과 열 합계를 고려하여 실제값과 기대값을 비교하는 것 검정 방식 실제값과 기대값 사이 차이를 계산하고 구해진 차이를 제곱한다. 조합에 대한 기대값으로 나눈다. 각 변수 조합에 대해 산출된 값들을 합산하여 산출되는 결과가 검정 통계랑. 산출된 검정 통계량을 카이제곱 분포의 값과 비교한다. 참고 자료 https://www.jmp.com/ko_kr/statistics-knowledge-portal/chi-square-test/chi-square-test-of-independence.html

자세히보기
피어슨 상관 계수

- 두 변수의 선형 상관 관계를 계량화한 수치 - -1~1 사이의 값을 갖는다. - +1은 완벽한 양의 선형 상관 관계, -1은 완벽한 음의 선형 상관 관계, 0은 상관 관계없음을 의미한다. - 대체적으로 0.3 이상이면 상관 관계가 존재한다고 평가한다.

자세히보기
수치 데이터/연속형 데이터/이산형 데이터/범주형 데이터/순위형 데이터/명목형 데이터

수치형 데이터 : 가격, 시간, 성적, 키, 몸무게 같이 숫자 형태로 측정되는 데이터 연속형 데이터 :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에 끊어짐이 없는 값, 주로 측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산형 데이터 :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에 끊어짐이 있는 데이터, 주로 개수를 세서 측정한다. 범주형 데이터 : 'A', 'B', 'C'와 같이 종류를 표시하는 데이터, 카테고리 데이터라고도 부른다. 순위형 데이터 : 각 범주의 데이터들 사이에 순위가 있는 데이터 명목형 데이터 : 데이터 간 순위가 없다.

자세히보기

  • 공분산

    공분산이란? 변수 두개로 구한 분산 상관계수를 정의할 때 선형 관계의 강도를 수치화 하기 위해 쓰임 공분산의 값이 양수라면 x가 평균보다 클 때 y가 평균보다 크거나, x가 평균보다 작을 때 y가 평균보다 작은 경우가 많다. 산점도 그래프로 그려보면 우상향 그래프가 된다. 공분산의 값이 음수라면 x가 평균보다 클 때 y가 평균보다 작거나, x가 평균보다 작을 때 y가 평균보다 큰 경우가 많다. 산점도 그래프로 그려보면 우하양 그래프가 된다. 단위가 다른 데이터들 사이의 비교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공분산의 표준화가 필요하고, 공분산을 표준화한 값이 피어슨 상관계수이다.

    2023.08.30 04:34
  • 유클리드 거리

    유클리디안 거리 혹은 유클리드 거리 : 값들 간의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비슷하나 추가적으로 여러 차원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2023.08.30 04:29
  • 카이제곱 검정

    카이제곱 검정이란? 두 변수가 관련될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기본 전제는 변수들이 서로 관련이 없다는 것 데이터에 있는 행과 열 합계를 고려하여 실제값과 기대값을 비교하는 것 검정 방식 실제값과 기대값 사이 차이를 계산하고 구해진 차이를 제곱한다. 조합에 대한 기대값으로 나눈다. 각 변수 조합에 대해 산출된 값들을 합산하여 산출되는 결과가 검정 통계랑. 산출된 검정 통계량을 카이제곱 분포의 값과 비교한다. 참고 자료 https://www.jmp.com/ko_kr/statistics-knowledge-portal/chi-square-test/chi-square-test-of-independence.html

    2023.08.30 04:26
  • 피어슨 상관 계수

    - 두 변수의 선형 상관 관계를 계량화한 수치 - -1~1 사이의 값을 갖는다. - +1은 완벽한 양의 선형 상관 관계, -1은 완벽한 음의 선형 상관 관계, 0은 상관 관계없음을 의미한다. - 대체적으로 0.3 이상이면 상관 관계가 존재한다고 평가한다.

    2023.08.30 01:55
  • 수치 데이터/연속형 데이터/이산형 데이터/범주형 데이터/순위형 데이터/명목형 데이터

    수치형 데이터 : 가격, 시간, 성적, 키, 몸무게 같이 숫자 형태로 측정되는 데이터 연속형 데이터 :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에 끊어짐이 없는 값, 주로 측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산형 데이터 :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에 끊어짐이 있는 데이터, 주로 개수를 세서 측정한다. 범주형 데이터 : 'A', 'B', 'C'와 같이 종류를 표시하는 데이터, 카테고리 데이터라고도 부른다. 순위형 데이터 : 각 범주의 데이터들 사이에 순위가 있는 데이터 명목형 데이터 : 데이터 간 순위가 없다.

    2023.08.29 12:49
  • 선형 관계 / 비선형 관계 / 단조 관계

    선형 관계 선형 관계는 두 변수가 동시에 일정한 비율로 증거하거나 감소하는 경우입니다. 직선으로 모형화 할 수 있는 데이터의 추세입니다. 비선형 관계 비선형 관계는 두 변수 사이의 관계가 선형이 아니라 한 변수가 변하면 증가 또는 감소 비율이 달라지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곡선 추세는 2차 또는 3차 함수 등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더 잘 모형화 할 수 있으며, 선형으로도 변환할 수도 있습니다. 단조 관계 선형 관계에서 두 변수가 동일한 방향과 일정한 비율로 이동하는 것과 달리 단조 관계는 두 변수가 동일한 상대적인 방향으로 이동하나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변화하는 것은 아닌 것을 뜻합니다. 선형 관계는 단조 관계이기도 합니다.

    2023.08.29 12:41
  • [Git] 기존 프로젝트에 git repository 연결하는 법

    1. 프로젝트 폴더 내 git init 생성 git init 2. GitHub repository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해온깃헙레포url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 git remote -v 3. 새 repository에서 내용을 pull 받음으로써 get history를 동기화 git pull origin main 4. 새 repository에 파일을 업로드 하기위에 스테이지에 파일 올리기 git add . 모든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린다는 뜻 5. 최초 커밋 git commit -m "first commit" 6. repository에 파일 업로드 git push -u origin master 발생했던 error fatal: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

    2022.12.28 19:10
  • 웹 프론트엔드 아키텍쳐(MVC/MVVM/FLUX)

    처음 개발 할 때에는 규칙없이 그냥 코드를 만들다 보면, 덩치가 커지는 순간 불편함이 생기고 정리가 안 되는 시점이 생깁니다. 그러니 처음부터 특정한 규칙을 만들어서 개발을 하는게 좋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규칙을 하나씩 만들어가며 개발을 하다보면 이것이 반복이 되어 하나의 특정 패턴이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패턴들을 모두가 이해하고 따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아키텍쳐라고 부릅니다. 그러므로 아키텍처란 좋은 구조를 만드는 것을 뜻하는데 좋은 구조의 첫번째 조건은 좋은 분류입니다. MVC 아키텍처 Model, View, Controller라는 영역으로 나누는 고전적인 방식입니다. View(화면): 최종적으로 HTML과 CSS로 만들어지는 결과물 Model(데이터): 데이터를 주관하는 영역 Controller..

    2022.04.26 00:14
  • 쓰레드(Thread)란 무엇인가?(단일 스레드/멀티 스레드 장단점)

    쓰레드란 프로그램(프로세스) 실행의 단위이며 하나의 프로세스는 여러개의 쓰레드로 구성이 가능하다. 하나의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쓰레드들은 프로세스에 할당된 메모리, 자원 등을 공유한다. 프로세스와 같이 실행, 준비, 대기 등의 실행 상태를 가지며 실행 상태가 변할때마다 쓰레드 문맥교환(context switching)을 수행한다. 각 쓰레드별로 자신만의 스택과 레지스터를 가진다. 쓰레드(Thread)의 장점 쓰레드는 프로세스보다 생성 및 종료시간, 쓰레드간 전환시간이 짧다. 쓰레드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자원등을 공유하므로 커널의 도움없이 상호간에 통신이 가능하다. 단일 스레드 -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하나의 스레드 실행 - 하나의 레지스터와 스택으로 표현 장점 : 자원 접근에 대한 동기화를 신경쓰지 않아도 ..

    2022.04.20 21:42
  • var, let, const의 차이

    JavaScript에서 변수 선언 방식인 var, let, const 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1. 변수 선언 방식 우선, var는 변수 선언 방식에 있어서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var name = 'bathingape' console.log(name) // bathingape var name = 'javascript' console.log(name) // javascript 변수를 한 번 더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에러가 나오지 않고 각기 다른 값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유연한 변수 선언으로 간단한 테스트에는 편리 할 수 있겠으나, 코드량이 많아 진다면 어디에서 어떻게 사용 될지도 파악하기 힘들뿐더러 값이 바뀔 우려가 있다. 그래서 ES6 이후, 이를 보완하기 위해 추가 된 변수 선..

    2022.04.18 15:35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